
<영등포: 대신맨숀> + <안녕, 가든테라스> + 스페셜 토크 후기
멤버 추천으로 알게 된 영화제. 건축 영화제는 처음이라 한 편 한 편이 굉장히 흥미로워 보였다. 그중에서도 건축의 다양성을 말하는 두 편의 영화가 토크와 함께 진행된다고 하여 보기로 했다.
참고로 온라인 영화제는 네이버TV에서, 오프라인은 아트하우스모모에서 진행되었다.
아래는 영화 두 편의 정보


영화 두 편은 모두 70년대 지어졌던 '상가아파트' 형식의 건축물을 그려낸다. <안녕, 가든 테라스>는 대구에 있는 건축물인데, 그 당시 꽤나 획기적인 형식으로 1층에 상가를 두고 2층부터 19세대의 주거 공간이 올려져 있다. 또 특이한 부분은 각 세대마다 전용 테라스 공간이 있다는 것. 용적률을 고려하지 않은 널찍널찍한 이 건물은 무려 예술의 전당을 설계 건축한 김석철 건축가의 작품이라고 한다. 집 하나에 60평, 80평이 넘는 넓은 아파트. 그 당시에는 꽤나 고급인 아파트였지만, 지금은 비효율적인 재건축 대상 건물로 전락하고 말았다.

한 편 <대신맨숀: 영등포 건축문화유산>의 대신멘션은 독특한 형태의 상가아파트이다. 1층은 시장이 있고, 넓은 주차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위에 ㅅ자 형태의 아파트가 올라가 있다. 그러나 누가 건축했는지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실험적인 작품의 작가가 미상인 채로 남아있다는 것은 꽤나 아쉬운 일이다.

2022년 10월 기준, 두 건물 모두 재개발을 앞두고 철거 예정이다. 재개발은 부동산 경제의 논리라면 반가운 일이겠으나, 그 안에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몇십 년 간 살아가던 주거공간을 잃게 되는 일이다. 천편일률적인 아파트 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도가 가능했던 기념비적인 건축물들이 남지 못한다는 것에 아쉬움이 남는다.
<안녕, 가든 테라스>에 출연한 대부분의 인터뷰이가 여성이라는 점은 나에게 흥미로운 지점이었다. 19세대 중에 그나마 재개발을 달가워하지 않는, 집에 애정도가 더 있는 사람들이 인터뷰에 참여했을 터. 집을 가꾸고 돌보며, 마당에서 상추를 키우고, 아이를 길러내는 '삶'을 살아가는 여성들이 집에 대한 애정도 더 깊은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대신멘숀>에서는 주거하는 사람들의 인터뷰 대신, 상가에서 일하는 상인들의 인터뷰가 주로 담겼다. 몇십 년간 그곳에서 시장을 운영해온 상인들에게는 집과도 다름없는 소중한 공간일 테다. 그러나 카메라는 상가+아파트라는 형태의 건축물에서 '상가'가 더 주요하게 드러나며, 재개발의 논리 속에 얼마나 손해를 보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영화 후에 이어진 스페셜 토크에서는 내내 용적률과 부동산 경제에 대한 이야기가 오고 갔다. 주거와 삶에 대한 다양한 상상을 들을 수 있을까 싶었던 나의 기대와는 꽤나 다른 전개였다. 영화는 참 좋았는데.
도시 건축물의 다양성은 결국 가족과 주거의 다양성과 연결된다. 다양한 삶을 꿈꾸는 사람들이 있기에 다양한 건축물도 상상될 수 있다. 건축과 삶은 이분법으로 떼어놓을 수 없다.
건축물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그러하다. 그 건축이 특별히 특이하거나, 유명한 건축가의 작품이기 때문에 의미가 부여되는 것이 아니다. 그 건축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이 축척되기 때문에 의미도 만들어진다.
가든 테라스의 박진현 감독은 모든 게 경제 논리에 따라 결정된다고 했지만 동의할 수 없었다. 재개발과 자본의 흐름 속에서 그 흐름에 휩쓸리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있고, 건축가는 그 삶의 다양한 모습을 담아내기 위한 실험을 해야 한다.
그러나 주거 공간을 가꾸고 애정을 담으며 살아가는 여성들이었고, 그 건축물을 설계하고 용적률을 계산하고 비평하는 사람들은 모두 남성이었다. (영화에 나온 건축가들도, 스페셜 토크를 진행한 감독과 교수들도 모두ㅎㅎ)
삶과 설계가 연결되지 않으면 건축의 다양성에도 한계가 있지 않을까. 토크를 들으며 꽤나 씁쓸한 마음이 들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 알렉스 카츠, 반향 (1) | 2023.01.21 |
---|---|
초등 교사가 일반 대학원 다니기 (4) - 연수 휴직하기 (2) | 2023.01.04 |
초등 교사가 일반 대학원 다니기 (3) - 원서 넣고 면접까지 (1) | 2022.10.01 |
초등교사가 일반대학원 다니기 - (2) 대학원 정보 찾기, 교수님 컨택하기 (0) | 2022.02.24 |
초등교사가 일반대학원 다니기 - (1) 학과 정하기 (feat. 여성학과) (0) | 2022.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