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초등교사가 일반대학원 다니기 - (1) 학과 정하기 (feat. 여성학과)

by xooxin 2022. 2. 7.

공부를 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내가 가고 싶은 과와 학교를 찾아봐야 한다. 

(나무 위키에 따르면) 여성학 대학원은 다음과 같은 학교에 개설되어 있다. 

 

  •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여성학과
  •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여성학과
  •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여성학 전공
  • 서강대학교 여성학과(연계 전공), 대학원 여성학 협동과정
  • 서울대학교 대학원 여성학 전공 협동과정
  •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실천여성학 전공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
  •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여성학과
  •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연계 전공), 일반대학원 여성학과
  • 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여성 젠더 학과
여기에 추가로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에  '젠더와 문화연구' 세부전공으로 개설되어있다. 
가고 싶은 학교의 모집 요강과 요건 등을 정리하며 여성학과에 가기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 

학교마다 세부 기준은 모두 다르지만 내가 준비했던 학교들을 중심으로 말해보자면

 

1) 서울대 여성학 협동과정

- 서울대는 협동과정이라는 이름으로 학과가 만들어져 있다. 그렇다고 전공 교수님이나 과 사무실이 없냐 하면 그런 건 아니다. 왜 계속 협동과정이 붙어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서울대는 일단 TEPS 성적이 기본 요건으로 충족되어야 한다. 영어가 안되면 원서를 넣을 수도 없으니 미리미리 준비할 것. 또 학업계획서에서 소논문 정도의 분량을 요구하는데, 여성학과만의 제출 서식이 따로 있을 정도라 여성학과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따로 찾아보아야 한다. 

또 모집 요강에는 쓰여있지 않지만 면접에서 영어 시험을 본다. 기본적인 면접 질문과 함께, 주어진 영어 텍스트를 그 자리에서 읽고 해석해야 하는 문제가 주어진다. 

 

2) 이화여대 여성학과 

- 이대는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추천서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분량이 정해져 있지는 않은데 네이버 대학원 준비 카페 등을 찾아보고 후기들을 읽어봤을 때 너무 길게 쓰는 것도 독이라고 해서 주요 내용 위주로 정리해서 쓰는 게 좋을 것 같다. 

 

3)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 연대도 학업 및 연구계획서, 추천서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위의 학교들과 다른 점은 전부 온라인 제출이라는 것이다. 위의 학교들은 서류를 우편으로 보내야 하는 반면, 연대는 접수와 서류 제출을 전부 연대 자체 사이트에서 진행한다. 학업 및 연구계획서는 주어진 양식이 없고, 그 사이트에 직접 입력하는 형태다. 글을 미리 써 놓고 복사 붙여 넣기 해서 입력하면 된다. 

또한 여성학이 아니라 문화인류학이므로 문화인류와 접목하여 연구한다는 점을 어필하여 연구 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이 이 좋다.  

 

추가로 박사 과정의 경우 대부분의 학교에서 추천서가 2부가 필요했다. 연구를 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지, 주변 사람이나 교수의 추천이 굉장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 같았다. 

 

기타.
성공회대 실천여성학전공 경우 수업이 매 주 수요일 하루만 있고, 합격생들에게는 전학기 장학금 지원 등이 있는 등 다양한 혜택이 있으므로 수업 요일을 조절할 수 있는 중고등 교사나, 수업료가 부담되는 사람이라면 관심있게 찾아볼 만 하다.